🔬 연구과제 전체 목록

한림대학교 자연어처리 연구실의 모든 연구과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

메인 페이지로 돌아가기
5
진행중인 과제
5
완료된 과제
10
총 과제 수

과제 상태별 필터

🔄 진행중인 과제 (5개)

폐색전증 진단 지원을 위한 비조영 CT 영상의 조영 이미지 생성

2025.06~2026.01

한림대학교

페색전증(Pulmonary Embolism, PE) (와 대동맥박리)의 신속한 영상 기반 진단은 필수적이지만, 표준 방법인 조영증강 폐혈관 CT (CTPA)는 조영제 부작용이 있는 금기 환자에서 제한된다. 본 연구는 비조영 CT 영상을 이용하여 진단 가능한 수준의 조영 유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.


빅데이터, 머신러닝, 메타버스 융합을 통한 강원형 AI 전환 모델 구축

2025.03~2030.02

교육부

지산학연 공유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지역 ICT/AI 산업을 고도화. 디지털 트윈, 디지털CRO, 인터렉티브 AI 등 연구


핵융합 디지털 트윈을 위한 플라즈마 동적 특성 표현 및 분석 기술 개발

2023.04~2025.12

한국연구재단

핵융합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플라즈마의 동적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. 특히 대용량 핵융합 플라즈마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효율적 저장, 표현을 위한 수치 기법 및 격자 기술 개발, 핵융합 플라즈마 동적 특성 분석,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 및 AI, ML 기술을 개발한다.


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플랫폼

2022.06~2029.02

한국연구재단

인공지능 기반 뇌혈관질환 관리 시나리오 설계 및 표적 디지털 바이오마커 탐색, 인공지능 기반 뇌혈관질환 디지털 의료 시스템 기반 구축, 인공지능 기반 뇌혈관질환 디지털 의료 시스템 개발, 인공지능 기반 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 디지털 의료 시스템 통합 등


인공지능 혁신 허브 연구 개발

2021.07~2025.12

한국연구재단

AI 기술 혁신을 위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신기술을 개발한다. 특히 기계가 스스로 생각하면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전트 관련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.

✅ 완료된 과제 (5개)

자연어처리를 이용한 저에너지 낙상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및 위험요인 분석

2024.08~2025.02

정보통신기획평가원

AI 기술 혁신을 위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신기술을 개발한다. 특히 기계가 스스로 생각하면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전트 관련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.


Impact-Echo based duct defect detection using deep SVDD

2022.04~2023.03

한림대학교

본 연구에서는 내부 탐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Impact-Echo (IE)를 사용해 얻은 원시 IE 신호를 Deep SVDD (Deep Support Vector Data Description) 를 사용하여 2 단계로 검증을 하고자 한다. 즉 1차적으로 이상 위치를 탐지하고, 이상이 없다고 탐지된 부분만 추가로 이상 탐지를 진행하여 보다 정교한 탐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.


가상 핵융합 실증로 구현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획연구

2022.04~2022.12

강원테크노파크

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, AI, IoT, VR, 로봇 기술 동향 분석 및 연구주제 발굴
- 핵융합 데이터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 동향 분석
- 핵융합 발전소 가상화를 위한 VR 및 로봇 기술 동향 분석


언어발달, 언어치료교육, 언어공학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한 한국형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및 전생애 언어발달모형 구축

2019.07~2023.06

한국연구재단

언어발달 문헌 분석 및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들을 분석하고 언어학자, 언어발달전문가, 언어공학자를 포함한 전문가 대상 심층면담(FGI)을 실시하며, 연구된 자료를 종합하여 구어 수집 프로토콜 및 언어발달연구를 목적으로 한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.


자동 언어 장애 진단을 위한 언어 자원 구축 및 딥러닝/자연언어처리 모델 개발

2019.03~2022.02

한국연구재단

자동 언어 장애 진단을 위한 언어 자원 구축 및 진단 모델 개발이 주 목표임.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,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전체 연령의 언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령별 대화 언어 규준을 개발하고, 둘째, 자연언어처리와 딥 러닝에 기반한 자동 언어장애 사전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챗봇을 활용한 시스템을 개발한다.